본문 바로가기
주식

버터에 유당이 있을까? 유당불내증도 안심하고 먹을 수 있을까?

by 돈블맨 2025. 6. 26.

버터, 우유에서 왔지만 유당은 적다?

버터는 우유의 유지방으로 만들어진 유제품입니다. 따라서 우유에 들어있는 유당(Lactose)이 버터에도 포함되어 있을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정보인데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버터에는 유당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 함량은 매우 적은 편입니다. 일반적인 우유나 생크림에 비해 훨씬 적은 양의 유당이 들어있어, 대부분의 유당불내증 환자들도 버터를 섭취하는 데 큰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면 왜 우유로 만든 버터에 유당이 적게 들어있을까요? 이는 버터의 제조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버터는 우유에서 유지방을 분리하여 응고시키는 과정을 거치는데, 유당은 주로 우유의 수분(유청) 부분에 존재합니다. 우유를 휘저어 지방을 분리하는 과정(교반)에서 대부분의 수분과 함께 유당이 버터밀크(buttermilk)로 분리되어 제거되기 때문입니다.

버터 속 유당 함량과 유당불내증에 미치는 영향

버터에 남아있는 유당의 양은 제품과 제조 과정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매우 소량입니다. 예를 들어, 100g의 버터에는 약 0.1~0.6g 정도의 유당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일반 우유 100g에 약 4.5~5g의 유당이 들어있는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양입니다.

  • 대부분의 유당불내증 환자에게 안전: 많은 유당불내증 환자들은 한 번에 약 12g 이하의 유당을 섭취할 경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버터 100g에 들어있는 유당의 양은 이 기준에 훨씬 못 미치기 때문에, 대부분의 유당불내증 환자들은 버터를 섭취해도 소화 불편을 겪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심한 유당불내증의 경우 주의: 하지만 유당에 대한 민감도가 매우 높은, 즉 소량의 유당에도 과민 반응을 보이는 심한 유당불내증 환자라면 버터를 섭취할 때도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소화기 증상(복통, 설사, 가스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자신의 몸 반응을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무가염 버터와 가염 버터: 유당 함량은 가염 여부와 큰 관련이 없습니다. 제조 과정에서 유당이 제거되는 것이 핵심입니다.

따라서 버터는 유제품이지만, 유당 함량이 낮아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비교적 안전한 식품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의 민감도 차이가 크므로, 소량 섭취 후 몸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유당 불내증을 위한 다른 버터 종류: 기버터와 비건 버터

만약 일반 버터의 소량 유당도 걱정되거나, 유제품을 완전히 피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기버터(Ghee)'나 '비건 버터'를 대안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 기버터 (Ghee, 정제 버터):
    • 제조 과정: 무가염 버터를 낮은 온도에서 오랫동안 끓여 수분, 유당, 단백질 등의 고형 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순수한 유지방만 남긴 것입니다.
    • 유당 함량: 버터 제조 과정에서 남은 미량의 유당과 카제인(우유 단백질)까지 거의 완벽하게 제거되므로, 유당 불내증이나 우유 단백질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도 대부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 특징: 풍미가 고소하고 발연점이 높아 고온 요리에 적합하며, 보존 기간이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비건 버터 (Vegan Butter, 식물성 버터):
    • 제조 과정: 아몬드, 캐슈넛,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시어버터 등 식물성 재료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버터 대체품입니다.
    • 유당 함량: 유제품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당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유당불내증은 물론, 우유 알레르기가 있는 비건들도 섭취할 수 있습니다.
    • 특징: 맛과 질감이 일반 버터와 유사하게 개발되지만, 제품에 따라 성분과 영양가, 풍미가 크게 다를 수 있으므로 구매 시 성분표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이처럼 유당에 대한 걱정이 있다면 기버터나 비건 버터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버터를 선택하든, 자신의 건강 상태와 필요에 맞춰 신중하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버터 섭취 시 추가 고려사항

버터는 유당 함량이 낮아 유당불내증에 비교적 안전하지만, 다른 측면에서 몇 가지 고려할 점이 있습니다.

  • 지방 함량: 버터는 지방 함량이 매우 높은 식품입니다(약 80% 이상). 따라서 과도한 섭취는 칼로리 섭취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적정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유제품 알레르기: 유당불내증은 유당을 소화하지 못하는 효소 부족 문제이지만, 우유 알레르기는 우유 단백질(카제인, 유청 단백질 등)에 대한 면역 반응입니다. 버터에는 소량의 유단백질이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우유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버터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이런 경우 기버터나 비건 버터가 더 안전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 건강한 버터 선택: 목초를 먹인 소에서 얻은 우유로 만든 '그래스 페드 버터(Grass-fed Butter)'는 일반 버터보다 오메가-3 지방산, 비타민 K2, 베타카로틴 등의 영양성분이 더 풍부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버터에는 유당이 소량 포함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유당불내증 환자들은 큰 문제 없이 섭취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의 민감도와 증상 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항상 자신의 몸 반응을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유당에 대한 우려가 크다면 기버터나 비건 버터를 대안으로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버터를 건강하고 현명하게 즐기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