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기개발

ChatGPT의 심층 리서치 횟수 카운팅 방식 정리

by 돈블맨 2025. 3. 19.

ChatGPT의 심층 리서치 횟수 카운팅 방식 정리

목차

ChatGPT 새로운 기능 심층 리서치 횟수 카운팅 정리

ChatGPT 심층 리서치란?

심층 리서치(Deep Research)란, ChatGPT가 단순히 기존의 학습된 데이터만을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으로 웹을 검색하여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이 기능을 통해, 일반적인 AI 모델이 제공할 수 없는 최신 데이터나 특정 정보를 찾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1. 심층 리서치가 실행되는 조건

심층 리서치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자동 실행됩니다.

  1. 최신 정보가 필요한 경우
    • 예) "애플이 이번에 출시한 아이폰의 가격은?"
    • → 최신 뉴스, 공식 사이트 정보를 찾아야 하므로 검색 실행됨.
  2. 실시간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 예) "서울의 현재 날씨는?"
    • → 실시간 정보를 얻기 위해 검색 실행됨.
  3. 로컬 정보가 필요한 경우
    • 예) "강남에서 평점 좋은 카페 추천해줘."
    • → 지역 정보를 검색해야 하므로 검색 실행됨.
  4. 정확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 (특정 사이트 정보 포함)
    • 예) "AWS의 현재 EC2 가격을 알려줘."
    • → AWS 공식 문서나 최신 요금 정보를 찾아야 하므로 검색 실행됨.
  5.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틈새 정보
    • 예) "2025년 대한민국 AI 관련 법률 개정안은?"
    • → 정책이나 법률이 자주 바뀌므로 검색 실행됨.

2. 심층 리서치 횟수 카운팅 방식

심층 리서치의 카운트는 "검색 요청 1회당 1카운트" 기준으로 측정됩니다.

📌 카운트 예시
✔️ 단일 검색 요청 → 1회 카운트

  • "AWS EC2 t3.large의 2025년 가격 알려줘."
  • → 검색 수행 1회 → 1 카운트

✔️ 여러 검색 요청이 포함된 질문 → 각 검색마다 1회씩 카운트

  • "AWS EC2 t3.large 가격과 구글 클라우드 VM 가격 비교해줘."
  • → AWS 가격 검색 + 구글 클라우드 가격 검색 = 총 2회 카운트

✔️ 추가 질문 시 새 검색 요청 발생 → 추가 카운트

  • "AWS 가격 알려줘." (1회 검색)
  • 이후 "그러면 t3.medium 가격도 알려줘." (1회 추가 검색)
  • → 총 2회 카운트

✔️ 동일한 주제로 연속 검색하면 각각 카운트됨

  • "2025년 워드프레스 트렌드 알려줘." (1회)
  • 이후 "워드프레스 최신 SEO 전략도 찾아줘." (1회 추가)
  • → 총 2회 카운트

✔️ 검색 없이 해결된 경우 → 카운트되지 않음

  • 예) "파이썬에서 리스트를 정렬하는 방법은?" (기본 지식이므로 검색 없음)
  • 예) "워드프레스에서 테마 변경하는 법 알려줘." (기본 지식이므로 검색 없음)
  • 0회 카운트

3. 카운트 예외 사항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심층 리서치로 카운트되지 않습니다.

ChatGPT 내부 지식만으로 해결 가능한 경우

  • 예) "파이썬에서 Selenium으로 버튼 클릭하는 방법 알려줘."
  • → ChatGPT의 기존 데이터로 해결 가능 → 검색 없음 → 0회

기본적인 기술, 개념 설명 요청

  • 예) "CPU와 GPU의 차이점은?"
  • → 기본적인 개념 설명이므로 검색 없음 → 0회

코드 작성 및 일반적인 가이드 요청

  • 예) "파이썬으로 네이버 로그인 자동화 코드 짜줘."
  • → 내부 지식만으로 코드 작성 가능 → 검색 없음 → 0회

4. 내가 심층 리서치를 사용했는지 확인하는 방법

현재 OpenAI에서는 심층 리서치 사용 횟수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심층 리서치(웹 검색)가 실행되었는지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웹에서 검색한 결과입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됨
    • 검색 결과가 나올 때 "웹에서 검색한 결과입니다" 또는 "최신 정보를 찾기 위해 검색했습니다"라는 문구가 나타남.
  2. 응답이 늦어지는 경우
    • 보통 웹 검색을 수행하면 몇 초 정도 응답이 지연됨.
  3. 검색을 수행한 웹사이트가 포함될 수 있음
    • 검색 결과에서 출처(예: AWS 공식 사이트, 네이버 뉴스, 구글 블로그 등)가 포함됨.

5. 정리

🔹 심층 리서치(웹 검색)란?

  • 최신 정보, 실시간 데이터, 로컬 정보, 특정 공식 문서를 검색할 때 사용됨.

🔹 카운팅 기준은?

  • 검색 1회당 1 카운트
  • 각각의 추가 검색 요청은 별도로 카운트됨

🔹 어떤 경우에 카운트되지 않나?

  • 기존 데이터로 해결 가능한 경우 (예: 코딩 가이드, 기본 개념 설명)
  • 검색 없이도 답변할 수 있는 경우

🔹 내가 검색을 사용했는지 확인하는 방법?

  • "웹에서 검색한 결과입니다." 문구 확인
  • 응답 속도가 느려지면 검색 실행 가능성 높음

 

무료 버전은 10번만 제공합니다. 정말 필요할 때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