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티스토리 통계 오류가 나는 이유(2025.03.31) 방문자 0

by 돈블맨 2025. 3. 31.

티스토리 통계 오류가 나는 이유

목차

    티스토리 통계 오류가 나는 이유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다 보면 갑자기 방문자 수가 '0명'으로 찍히거나 통계가 아예 표시되지 않는 당황스러운 경험을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 역시 처음에는 “설마 아무도 안 들어왔을까?”라는 생각에 놀란 적이 있었는데요, 실제로는 블로그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설정이나 시스템상의 작은 오류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티스토리 통계 오류가 나는 이유를 중심으로, 원인별 해결 방법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실제 사례와 함께 설명드릴 테니 비슷한 문제가 있었다면 천천히 읽어보시고 적용해보세요.

     

    티스토리 통계 오류 3월 31일

    브라우저 캐시와 쿠키 오류

    가장 흔하면서도 쉽게 간과되는 원인이 바로 브라우저 캐시와 쿠키 문제입니다. 방문자 수나 통계 그래프가 갑자기 보이지 않거나, 며칠 전 데이터만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면 브라우저 캐시를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 크롬 기준: 설정 > 개인정보 보호 > 인터넷 사용기록 삭제 > 캐시 이미지 및 파일 선택 후 삭제
    • 캐시를 삭제한 후 다시 로그인하고 통계를 확인해보면 정상적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문제는 제가 가장 자주 겪었던 오류인데요, 다른 기기에서는 통계가 잘 보이는데 노트북에서는 이상하게 집계가 끊긴 적이 있었습니다. 결국 캐시 삭제로 해결했습니다.

    블로그 활동 중단 시 통계 미반영

    티스토리는 활동이 장기간 없는 블로그에 대해 통계를 일시적으로 멈추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몇 달간 글을 쓰지 않고 방치해두었다면 티스토리 측에서는 해당 블로그를 ‘비활성 상태’로 간주하고 통계 집계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아래처럼 해결해 보세요.

    • 새 글 하나를 작성하고 발행
    • 1~2일 뒤에 통계를 확인하면 방문자 수가 다시 정상적으로 집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3개월 만에 글을 하나 발행했더니 그다음 날부터 다시 방문자 수가 잡히기 시작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스킨이나 HTML 편집으로 인한 오류

    티스토리 스킨을 커스터마이징하면서 HTML 코드나 CSS를 수정한 경우, 의도치 않게 통계 관련 코드가 삭제되거나 오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 티스토리 통계 코드 시작 --> 같은 추적 코드가 삭제된 경우
    • 방문자 추적 기능이 있는 자바스크립트가 비활성화된 경우

    이럴 때는 아래 순서로 점검해 보세요.

    1. 스킨 편집 > HTML 영역에서 통계 관련 코드가 남아 있는지 확인
    2. 문제가 있을 경우, 기존 백업 스킨으로 되돌리거나 기본 스킨으로 임시 변경하여 정상 작동 여부 확인

    스킨을 무겁게 꾸미는 것보다 기본 스킨에 필요한 기능만 넣는 쪽이 오류 발생 가능성이 낮습니다.

    티스토리 서버의 일시적인 장애

    간혹 티스토리 자체의 서버 문제로 인해 전체 사용자에게 통계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개인 설정과 무관하게 모든 블로거가 동일한 문제를 겪게 됩니다.

    이럴 땐 아래처럼 대응하면 됩니다.

    • 티스토리 공지사항이나 카카오 고객센터 확인
    • 커뮤니티(네이버 블로그, 오픈카페 등)에서 유사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는지 확인
    • 별다른 조치 없이 12~24시간 내에 정상 복구되는 경우가 많음

    예전에도 몇 차례 이런 서버 이슈가 있었는데, 대부분 다음 날이면 자동 복구됐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무리하게 설정을 변경하지 말고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연동 오류

    티스토리를 구글 애널리틱스와 연동하여 방문자 수를 분석하고 있는 경우, 설정 오류나 추적 코드 비활성화로 인해 통계가 '0'으로 표시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UA 코드 또는 GA4 태그 입력 실수
    • 플러그인 설정에서 ‘사용 안 함’으로 비활성화됨
    • 추적 코드가 <head> 또는 <body>에 제대로 삽입되지 않음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티스토리 플러그인 메뉴에서 구글 애널리틱스 설정 확인
    2. UA 코드나 GA4 태그 재확인
    3. 크롬 확장 프로그램 'Tag Assistant'로 추적 코드 작동 여부 검사

    개인적으로는 GA4 전환 이후 이런 문제가 많아졌고, 결국 플러그인을 끄고 수동으로 코드 삽입해서 해결했습니다.


    이처럼 티스토리 통계 오류는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은 비교적 간단한 조치로 해결 가능합니다. 문제가 생겼을 때 당황하지 마시고 위 내용을 하나씩 점검해보세요. 나중에는 “아, 또 이거네!” 하며 능숙하게 대처할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