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맥OS에서 가운데 점(·) 입력이 필요한 이유
맥OS 환경에서 문서를 작성하거나 디자인 작업을 할 때, 특정 단어나 숫자 사이에 작은 점을 찍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어·영어·수학'처럼 과목을 나열하거나 '010·1234·5678'처럼 전화번호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 이 점이 바로 가운데 점(·)입니다. 윈도우와 마찬가지로 맥 키보드에도 가운데 점 전용 키는 따로 존재하지 않아 처음 사용하는 분들은 다소 어렵게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맥OS는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다양한 특수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활용하면 가운데 점을 포함한 여러 기호를 빠르고 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맥OS 사용자가 가운데 점을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키보드 단축키부터 직관적인 문자 뷰어 활용법까지, 자신의 작업 스타일에 맞는 최적의 방법을 찾아 문서 작업의 생산성을 높여보세요.
맥OS 가운데 점(·) 입력의 핵심: Option 키 조합
맥OS에서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Option (⌥) 키를 다른 키와 조합하는 것입니다. 가운데 점(·) 역시 이 방법을 통해 손쉽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 Option (⌥) + Shift (⇧) + 9: 영문 키보드 상태에서 Option 키와 Shift 키, 그리고 숫자 9 키를 동시에 누르면 가운데 점(·)이 입력됩니다. 이 조합은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가운데 점 입력 단축키이므로, 맥 사용자가 반드시 알아두면 좋습니다.
- Option (⌥) + 8 (•): 일부 맥 환경에서는 Option 키와 숫자 8을 눌렀을 때 • (불릿 포인트)가 입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가운데 점과 형태가 유사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다른 기호이므로 사용 목적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가운뎃점'을 원한다면 Option + Shift + 9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이 단축키는 대부분의 텍스트 편집기, 웹 브라우저, 워드 프로세서 등 맥OS 전반에서 작동합니다. 한글 입력 상태에서는 다른 문자가 입력되거나 아무 반응이 없을 수 있으니, 반드시 영문 입력 상태에서 시도해야 합니다.
맥OS 문자 뷰어를 활용한 가운데 점(·) 입력
키보드 단축키를 외우기 어렵거나, 다양한 특수문자를 시각적으로 찾아 입력하고 싶을 때는 맥OS의 문자 뷰어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문자 뷰어는 이모티콘, 기호, 특수문자 등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보여주는 편리한 도구입니다.
- 단축키로 문자 뷰어 열기: 키보드에서 Control (⌃) + Command (⌘) + Space bar 키를 동시에 누르면 화면에 작은 문자 뷰어 창이 나타납니다.
- 메뉴 막대에서 열기: 화면 상단의 메뉴 막대에서 입력 소스 아이콘(보통 태극 문양이나 A 아이콘)을 클릭한 후, 드롭다운 메뉴에서 '이모티콘 및 기호 보기'를 선택하여 문자 뷰어를 열 수도 있습니다. (만약 입력 소스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다면,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입력 소스'에서 '메뉴 막대에서 입력 메뉴 보기'를 활성화해야 합니다.)
- 문자 뷰어에서 가운데 점 찾기: 문자 뷰어 창이 열리면, 하단의 탭 중에서 Ω (오메가) 모양의 '기호' 탭을 클릭합니다. '일반 문장 부호' 또는 '라틴-1 보충' 카테고리에서 가운데 점(·)을 찾아 클릭하면 커서가 있는 위치에 바로 입력됩니다. 상단 검색창에 "middle dot" 또는 "가운데 점"을 검색하여 찾아볼 수도 있습니다.
문자 뷰어는 단축키를 외울 필요 없이 직관적으로 특수문자를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특수문자는 '자주 사용하는 항목'에 자동으로 등록되므로, 다음부터는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한글 입력 소스 설정 및 활용 (한글 입력 시)
맥OS에서 한글을 주로 사용하고, 한글 입력 상태에서 가운데 점을 입력하고 싶을 때 유용한 방법이 있습니다. 이는 윈도우의 '자음 + 한자 키' 방식과 유사한 개념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한글 입력 상태 확인: 먼저 현재 입력 언어가 한글(두벌식 또는 세벌식)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특정 자음 + 문자 뷰어: 윈도우처럼 'ㄱ'을 누르고 한자 키를 누르는 직접적인 방법은 맥OS에 없지만, 한글 자음을 입력한 후 Control (⌃) + Command (⌘) + Space bar를 눌러 문자 뷰어를 열고 가운데 점을 찾는 방법은 유효합니다. 이 경우, 한글 입력기에서 바로 특수문자를 전환하여 입력할 수 있습니다.
- 텍스트 대치 기능 활용: '시스템 설정' > '키보드' > '텍스트' 탭에서 '텍스트 대치' 기능을 활용하면 특정 문자열을 입력했을 때 자동으로 가운데 점으로 바뀌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ㄷㅈ'과 같은 자주 사용하지 않는 조합을 '·'으로 대치하도록 설정하면 한글 입력 상태에서도 빠르게 가운데 점을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들은 맥OS의 한글 입력 환경에서 더욱 편리하게 가운데 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특히 텍스트 대치 기능은 자주 사용하는 복잡한 기호나 문구를 자신만의 단축키로 설정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가운데 점(·)과 유사 기호 구분하기
가운데 점(·)과 유사하게 생긴 다른 기호들이 있어 혼동될 수 있습니다. 목적에 따라 정확한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운데 점 (·, U+00B7 MIDDLE DOT): 단어 사이를 구분하거나 숫자 나열에 주로 사용됩니다. (예: 국어·영어·수학)
- 불릿 포인트 (•, U+2022 BULLET): 목록을 만들 때 주로 사용되는 기호입니다. (예: • 첫 번째 항목) Option + 8로 입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하이픈 (‐, -, –, —): 단어 연결, 문장 부호 등으로 사용됩니다. 가운데 점과는 위치와 용도가 명확히 다릅니다.
맥OS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들을 통해 가운데 점(·)을 포함한 다양한 특수문자를 쉽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가장 편리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익혀두면 문서 작성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Mac OS) 엑셀 줄바꿈 단축키 정리 (1) | 2025.06.27 |
---|---|
윈도우 가운데 점(·) 입력방법 (2) | 2025.06.22 |
덕덕고 사생활을 지켜주는 검색엔진 (2) | 2025.06.06 |
넷플릭스 영상재생 오류 해결 방법 (1) | 2025.05.30 |
제미나이 vs 제미니: 구글 AI, 어떻게 부르는 게 맞을까? (4) | 2025.05.22 |